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정보포털 로고

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의료기기정보포털 웹사이트 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유튜브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udi 표준코드 검색
검색
검색창 닫기

생활 속 의료기기

전동휠체어, 제품별로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 차이 있어

전동휠체어, 제품별로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 차이 있어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의료기기 기준에 적합해

 


 전동휠체어는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이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최근 인구 고령화 추세와 장애인의 이동 편리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건강보험 급여 확대 및 관련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객관적인 상품 품질정보 제공 및 관련 기준* 적합성 확인을 위해 장애인과 고령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전동휠체어 6개 업체의 6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의 품질 성능 및 제품특성을 시험 평가하였습니다.

 

* 의료기기 기준규격 (별표2. ‘48.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9-61호(2019.7.19.))
** 거봉(GK11-ECO), 로보메디(RW-300),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오토복코리아 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이지무브(P12SXL), 케어라인(나래210)

 

 시험 결과, 장애물 오름, 경사로에서의 안정성, 최대속도 등의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부내용, 붙임자료 7페이지)

 

 주행 최대속도, 브레이크 제동에 의한 정지거리, 경사로에서의 안정성 등을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의료기기 기준규격에 적합하였고, 허가정보,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의 표시사항도 의료기기법에 부합하였습니다.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의 품질과 충전시간, 무게, 보유기능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세부내용, 붙임자료 7~9페이지)
 

 주행 편리성은 모든 제품이 ‘양호’ 이상의 수준을 보였습니다.
 전동휠체어의 주행 편리성*을 평가한 결과, 직진 시 조이스틱 반응 속도 및 직진 유지정도를 확인한 `직진 유지성' 항목에서 4개 제품**이 `상대적 우수'(★★★), 나머지 2개 제품이 `양호'(★★)로 평가되었습니다.

 

* 보행자 수준의 속도에서 실시한 관능평가(30명) 결과임.
** 거봉(GK11-ECO),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이지무브(P12SXL), 케어라인(나래210)

 

 제자리에서 좌·우 90도로 회전한 후 직진할 때의 차체 쏠림 여부를 확인한 `회전 후 직진성' 항목에서는 3개 제품*이 `상대적 우수'(★★★), 나머지 3개 제품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 거봉(GK11-ECO),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이지무브(P12SXL)

 

 배터리 성능은 1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고, 햇빛에 의한 색상변화는 모든 제품에서 이상이 없었습니다.
 전동휠체어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해 반복적인 사용(수명시험*) 후의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을 평가한 결과, 로보메디(RW-300) 제품의 유지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나머지 5개 제품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습니다.

 

* 충·방전(완전충전후잔여용량30%까지방전)을50회반복한후초기용량대비유지비율평가 ⇒배터리성능이‘보통’으로평가된5개업체는향후배터리품질향상을위해노력할계획임을회신


 햇빛에 의해 좌석부위(시트·등받이)가 변색되는지를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하였습니다.

 

* 한국소비자원이 자체적으로 제정·운영하는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

 

 제품별 충전시간은 7.5 ~ 10시간, 무게는 87.5 ~ 112.8kg이었으며, 사용자 탑승 관련 보유기능(등받이 각도조절, 안전손잡이 등)에서도 제품 간 차이가 있었습니다.

 

 전동휠체어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통행방법을 준수하고 보행자 속도로 주행해야 합니다. (세부내용, 붙임자료 10페이지)
 

 전동휠체어는 도로교통법 상 보행자*로 간주되어 보도로 통행해야 하며,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이나 낙상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행자 수준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및 제8조(보행자의 통행)에 따라 전동휠체어는 보행자로 분류되며,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 보도로 통행해야 함.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소비자원은 향후에도 협력을 강화하여 국민이 다수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I. 전동휠체어 주요 시험·평가 결과

 

1. 시험대상 제품

 

 전동휠체어 판매실적 및 소비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업체 및 제품 선정

 - 대상 업체 및 제품 : 판매실적 상위 6개 업체(각 업체별 1개 제품)

 - 제품 가격 :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300만원 미만

 

  ※ 동일 업체에서 다수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국민건강보험 급여기준액(209만원)에 가까운 제품을 우선적으로 선정

  

 <그림 1. 전동휠체어 사진>    

전동휠체어사진(조이스틱(주행, 방향전환) 등)

 

<표1. 시험대상 제품>

시험대상 제품
업체명 모델명 제조국 구입가격[원]
(주)거봉 GK11-ECO 한국 2,110,000
(주)로보메디 RW-300 한국 2,300,000
(주)아이디에스엘티디 KP-31 대만 2,060,000
(주)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 B400 KV Power Wheelchair 대만 2,300,000
(주)이지무브 P12SXL 대만 2,246,000
(주)케어라인 나래210 한국 2,090,000

 * 가격은 장애인 전동보조기기 급여제품 고시 가격(2019.12.30. 기준)

 ** 업체명은 가나다 순으로 작성

 

 II. 시험·평가 항목 및 방법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및 상담사례, 관련 기준 등을 바탕으로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험·평가 항목 결정

 

<표1. 시험·평가 항목 및 방법>

시험 평가 항목 및 방법
시험 항목 시험 내용 시험 방법
시험기준 최대 정지거리 최대 속도에서 정지(제동)거리 확인

의료기기

기준규격(주1)

 

정적·동적 안정성 경사에 대한 정적·동적 안정성 확인
조명등·반사경 조명등·반사경 등의 성능 확인
주행속도 최대 전진속도, 후진속도 확인
에너지소비 에너지소비(주행가능거리) 확인
가·감속도 주행시 가속도, 감속도, 감속피크 등 확인
회전폭·반경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폭, 회전 반경 확인
장애물 오름 장애물(턱)을 오르는지 확인
최대안전경사 오름 최대안전경사를 오르는지 확인
소음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 확인
방수 물에 의한 방수성능 확인
품질성능

주행

편리성

(관능시험)

직진 유지성 직진 유지정도 및 조이스틱 반응속도 확인 확인시험
회전 후 직진성 좌·우 회전(90도) 후 직진 할 때의 쏠림 현상 확인
배터리 성능 초기용량 대비 충·방전 50회 반복 후의 용량 수준 확인
좌석 색상변화 햇빛에 의해 좌석부위 재질(가죽, 천)의 색상이 변하는지 확인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주2)
제품특성 충전시간 배터리 완전 방전 후 충전까지의 소요시간 확인 확인시험
무게 제품별 무게 확인
보유기능 제품별 보유기능 확인
표시사항 의료기기법에 따른 표시사항 확인 의료기기법

 

※ 기준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품질성능 등 확인시험은 한국소비자원에서 진행함

 주1) 의료기기 기준규격(별표2. '48.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9-61호(2019.7.19))

 주2) 한국소비자원이 자체적으로 제정·운영하는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

 

 III. 종합 평가(요약)

 

 모든 제품 안전서에 문제 없었으며, 주행 편리성, 배터리 성능 등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 필요

 

 - 거봉(GK11-ECO)은 직진 유지성, 회전 후 직진성 등의 주행 편리성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나 배터리 성능은 '보통'이었음. 충전시간은 7.5시간으로 가장 짧았고,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등받이 각도조절, 서스펜션 등이 있었으며, 가격(2,110,000원)은 평균 보다 저렴했음.

 

 - 로보메디(RW-300)는 직진 유지성, 회전 후 직진성 등의 주행 편리성 평가에서 '양호'했고, 배터리 성능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음. 충전시간은 9시간으로 평균수준이었고,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안전손잡이, 발판 각도조절 등이 있었으며, 가격(2,300,000원)은 가장 비쌌음.

 

 - 아이디에스엘티디(KP-31)는 직진 유지성 평가에서 '양호'했고, 회전 후 직진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음. 배터리 성능은 '보통'이었고, 충전시간은 8.5시간으로 평균 보다 짧았으며,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안전손잡이, 서스펜션 등이 있었음. 가격(2,060,000원)은 가장 저렴했음.

 

 -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는 직진 유지성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회전 후 직진성은 양호했음. 배터리 성능은 보통이었고, 충전시간은 10시간으로 가장 길었으며,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시트분리, 등받이 각도조절 등이 있었음. 가격(2,300,000원)은 가장 비쌌음.

 

 - 이지무브(P12SXL)는 직진 유지성, 회전 후 직진성 등의 주행 편리성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나 배터리 성능은 보통이었음. 충전시간은 9시간으로 평균 수준이었고,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서스펜션, 보조바퀴 높이조절 등이 있었으며, 가격(2,246,000원)은 평균 보다 비쌌음.

 

 - 케어라인(나래210)은 직진 유지성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회전 후 직진성은 양호했음. 배터리 성능은 보통이었고, 충전시간은 9.5시간으로 평균 보다 길었으며, 보유기능으로 배터리 잔량표시, 안전손잡이, 등받이 각도조절 등이 있었음. 가격(2,090,000원)은 평균 보다 저렴했음.

 

 IV. 주요 항목별 시험·평가 및 조사 결과

 

가. 기준시험 및 표시사항

○ 주요 안전성, 모든 제품이 의료기기 기준규격에 적합

 - 주행 시 최대속도(15 km/h 이하), 브레이크 제동에 의한 정지거리, 경사로에 대한 정적·동적 안정성, 소음, 방수, 장애물·경사로 등판능력 등을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음.

* 의료기기기준규격(별표2. ‘48. 전동휠체어및의료용스쿠터’,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제2019-61호(2019. 7. 19.))

 

○ 표시사항, 모든 제품이 관련 법에 부합
 - 전동휠체어 허가정보,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의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모든 제품이 의료기기법에 부합했음.


나. 품질성능

 ○ 주행 편리성(직진 유지성, 회전 후 직진성)은 모든 제품이 ‘양호‘ 이상의 수준
  - 전동휠체어는 주행 시 조이스틱 조종으로 전·후진 및 방향전환을 하게되며, 직진 유지정도, 조이스틱 반응속도 및 회전 후 직진 시 쏠림 발생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
 - (직진 유지성) 전동휠체어 주행 시 직진 유지정도 및 조이스틱 반응속도가 적절한지를 평가한 결과, 거봉(GK11-ECO),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이지무브(P12SXL), 케어라인(나래210) 등 4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했고, 로보메디(RW-300),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등 2개 제품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됨.

 

 - (회전 후 직진성) 전동휠체어를 제자리에서 좌·우 90도 회전 후 직진할 때 한쪽 방향으로의 쏠림이 있는지 평가한 결과, 거봉(GK11-ECO),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이지무브(P12SXL)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로보메디(RW-300),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케어라인(나래210) 등 3개 제품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됨.

 

 <표3. 주행 편리성 평가결과>

주행 편리성 평가결과
업체명 모델명 평가결과
직진 유지성주) 회전 후 직진성주)
(주)거봉 GK11-ECO ★★★ ★★★
(주)로보메디 RW-300 ★★ ★★
(주)아이디에스엘티디 KP-31 ★★ ★★★
(주)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 B400 KV Power Wheelchair ★★★ ★★
(주)이지무브 P12SXL ★★★ ★★★
(주)케어라인 나래210 ★★★ ★★

[기호의 표시]  ★★★ : 상대적 우수    ★★ : 양호    ★ : 보통

주) 보행자 수준의 속도에서 실시한 관능평가(30명) 결과임.

 

 ○ 배터리 성능은 1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 전동휠체어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배터리 충전방전으로 수명이 저하될 경우 주행거리가 짧아질 수 있음.
 -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수명시험*을 실시한 결과, 로보메디(RW-300) 제품은 배터리 잔여용량이 초기용량 대비 90% 이상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나머지 5개 제품**은 80% 미만으로 나타나 보통인 것으로 평가됨.

 

* 충·방전(완전충전 후 잔여용량 30%까지 방전)을 50회 반복한 후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 평가
** 거봉(GK11-ECO),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이지무브(P12SXL), 케어라인(나래210)

 

⇒ 배터리 성능이 ‘보통’으로 평가된 5개 업체는 향후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배터리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등)할 계획임을 회신함.

 

 ○ 좌석부위 색상변화 여부를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

 

 - 전동휠체어는 실외 주행이 가능한 제품이므로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좌석 부위가 햇빛에 노출될 경우, 색상이 변색되는 등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음.

 

- 좌석부위(시트·등받이)에 대한 색상변화 여부를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함.

 

* 한국소비자원이 제정·운영하는 섬유제품권장품질기준(일광견뢰도평가: 가죽3급이상, 천4급이상)

 

<표4. 배터리 성능 및 좌석 색상변화 평가결과>

배터리 성능 및 좌석 색상변화 평가결과
업체명 모델명 평가결과
배터리 성능 좌석 색상변화
(주)거봉 GK11-ECO
(주)로보메디 RW-300 ★★★
(주)아이디에스엘티디 KP-31
(주)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 B400 KV Power Wheelchair
(주)이지무브 P12SXL
(주)케어라인 나래210

[기호의 표시] O : 관련 기준에 적합   ★★★ : 상대적 우수    ★★ : 양호    ★ : 보통

 

  다. 제품특성 및 주의사항

○ 사용자 탑승 관련 보유기능에서 제품 간 차이 있어

 -  전동휠체어 작동을 위한 기본적 사용기능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사용자 탑승 관련 보유기능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음.

 - [좌석부위] 4개 제품*은 사용자가 앉게 되는 시트가 손쉽게 분리(청소, 교체 용이)되었고, 탑승 시 편리할 수 있도록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었음.

 

* 거봉(GK11-ECO), 로보메디(RW-300),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케어라인(나래210)

 

 - [발걸이부위] 2개 제품*은 사용자의 발 위치에 따라 발판 각도를 조절할 수 있었고, 발걸이 탈부착은 모든 제품이 가능하였음.

 

* 거봉(GK11-ECO), 로보메디(RW-300)

 

 - [기타] 5개 제품*은 주행 시 바퀴에 튀는 흙, 돌 등을 차단하는 흙받기와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있었음.

 

* 거봉(GK11-ECO), 로보메디(RW-300), 아이디에스엘티디(KP-31), 이지무브(P12SXL), 케어라인(나래210)

 

○ 충전시간 대체로 길고, 제품 무거워 사용 시 주의 필요


- 전동휠체어를 구동이 멈출 때까지 완전 방전한 후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 결과, 거봉(GK11-ECO) 제품이 7.5시간으로 가장 짧았고, 오토복 코리아헬스케어(B400 KV Power Wheelchair) 제품은 10시간으로 가장 길었음.
- 제품 무게는 최소 87.5 kg에서 최대 112.8 kg으로 무거워 주행 중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이나 전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표5. 충전시간, 무게 평가결과>

배터리 성능 및 좌석 색상변화 평가결과
업체명 모델명 평가결과
춘전시간[h] 무게[kg]
(주)거봉 GK11-ECO 7.5 106.3
(주)로보메디 RW-300 9 93.1
(주)아이디에스엘티디 KP-31 8.5 87.5
(주)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 B400 KV Power Wheelchair 10 97.1
(주)이지무브 P12SXL 9 87.7
(주)케어라인 나래210 9.5 112.8

 

○ 전동휠체어 사고예방을 위해 보행자 속도 주행 및 통행방법 준수 필요


 - 전동휠체어는 도로교통법 상 보행자*로 간주되므로, 보도에서 보행자 수준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도가 아닌 차도, 자전거도로에서 주행 하거나 고속 주행할 경우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음.
* 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및 제8조(보행자의 통행)에 따라 전동휠체어는 보행자로 분류되며,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 보도로 통행해야 함.

연관 콘텐츠

  • 연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습니다.